박창근 학교장 [한반도 평화와 통일] 2015년 10월 30일 출판

박창근 학교장 [한반도 평화와 통일] 2015년 10월 30일 출판

0 6,931 2015.12.02 10:30

[소개]

국제관계 연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어제의 연구 결과가 오늘 뒤집히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하여야 10년쯤은 뒤집히지 않을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 이는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전혀 불가능하지는 않다.

 

우선 관련 연구 대상의 역사를 알아야 하고 다음은 그 현황을 알아야 한다. 관련 자료의 수집은 부지런한 연구자라면 모두 할 수 있는 일이다. 연구 성공의 관건은 수집한 자료들에 접근하는 이론과 방법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자기가 개발한 시스템학 이론과 방법을 이용해 한반도 평화와 통일 문제를 연구한다. 연구 결과는 논쟁거리가 되겠지만 연구의 성공 여부는 궁극적으로는 향후의 사실에 의해 판정될 것이다.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양심적인 연구는 완전히 ‘객관적으로’ 진행되어 하나의 복잡계인 한반도에 다양한 논리적 전망을 제시하게 된다. 각자는 자기의 가치관에 의해 특정한 전망을 선호한다. 예를 들면 이 책에서 저자는 한반도 평화와 전쟁, 통일과 분열, 평화 통일과 무력 통일에 대하여 많은 토론을 하였는데 그중 저자가 바라는 것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 그리고 평화적 통일이다.  

 

또 한 가지, 저자가 바라는 것은 자유민주주의에 의한 한반도 통일이지 ‘북한식 사회주의’에 의한 한반도 통일이 아니다. 1950년의 한반도는 북한에 의해 통일될 뻔 하였다. ‘그때 통일되었더라면 분단의 고통이 없겠는데...’, 이는 자주 들려오는 말이다.

 

저자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만약 그렇게 되었더라면 한민족 전체가 이날 이때까지 독재체제하에서 비인간적인 삶을 살아야만 했을 것이다. 그때 북한의 남침을 성공적으로 막았기에 그 후 한민족의 3분의 2는 자유민주주의 체제에서 살 수 있었고(비록 전반의 40년간은 이 체제의 도입과 정착을 위한 혼란도 적지 않았지만), 세계를 놀라게 한 한강기적을 창조할 수 있었으며, 산업화와 민주화에 성공하여 선진국이 될 수 있었다.

 

이제 한반도는 북한에서 자라나는 자유민주주의가 남한의 성숙된 자유민주주의와 서로 결합하여 한민족 전체가 세계 선진 민족의 대열에 진입하게 되는 중요한 역사적 전환기를 맞고 있다. 이 역사적 전환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역시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이 필수적이다. 이 책이 이를 위한 한 방울의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차례]

 

1 ‘시스템․지구사회․동북아시아․한반도․북핵’에 대한 사고

   ∙ 머리말 / 10

   1. 시스템 사고 / 10

   2. 지구사회 / 13

   3. 동북아시아 / 16

   4. 한반도 남북관계 / 22

   5. 북한 체제-핵무장 관계변화 시나리오 / 27

   6. 북핵 문제에서 중한 양국의 협력 전망 / 31

   7. 북한의 핵폐기 가능 여부 / 35

   8. 북한체제의 변화 전망과 중한 양국의 대응 / 39

   ∙ 맺음말 / 44

 

2 한반도 통일에 대한 중국 정부 입장의 이해

   ∙ 머리말 / 48

   1. 한반도 통일에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 관련 자료 / 48

   2. ‘한반도 통일에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의 이해 / 56

   3. 중국 정부가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는 이유 / 60

   ∙ 맺음말 / 71

 

3 최근 북한 내부정세의 특징과 전망

   ∙ 머리말 / 76

   1. 정치의 불안과 향후 전망 / 77

   2. 경제의 불안과 향후 전망 / 82

   3. 사회의 불안과 향후 전망 / 86

   4. 군사의 불안과 향후 전망 / 89

   5. 사상의 불안과 향후 전망 / 93

   6. 심경의 불안과 향후 전망 / 96

   7. 북한 변화 전망에 대한 총체적 고찰 / 99

   ∙ 맺음말 / 102

 

4 중국식 개혁개방, 북한에서 가능할까  

 

5 한반도 정세 및 한반도 통일과 관련된 일련의 문제들에 대한 소견

   ∙ 머리말 / 114

   1. 북한 정세 관련 / 114

   2. 한반도 통일 문제의 접근법 관련 / 127

   3. 한반도의 평화 통일 관련 / 144

   ∙ 맺음말 / 155  

 

6 21세기 한반도 전쟁, 저지할 수 있을까

   ∙ 머리말 / 160

   1. 한반도 전쟁:역사의 회고 / 161

   2. 한반도 6․25전쟁의 발발 / 169

   3. 향후 가능한 ‘한반도 전쟁’의 시나리오 / 175

   4.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북 정책의 비교 / 182

   5. 한반도 전쟁이 없다면 북한에서 ‘경제 제일주의’도 가능 / 186

   ∙ 맺음말 / 192  

 

7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성공할 수 있을까?

   ∙ 머리말 / 196

   1.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 내용과 실행 관련 / 197

   2.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실행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들/205

   3.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실행과 중국 조선족 / 217

   ∙ 맺음말 / 223

 

부록 화동 조선족 주말학교:회고와 전망

   ∙ 머리말 / 226

   1. 설립 취지 / 228

   2. 조선족 주말학교 / 232

   3. 연혁 / 235

   4. 조직구도 / 238

   5. 교사진 / 241

   6. 월례 교사회의 / 244

   7. 학부모회 / 246

   8. 학비 / 248

   9. 학생 모집 / 251

   10. 한국어 / 253

   11. 상하이 조선족 어린이 장기자랑 / 256

   12. 도서관 / 258

   13. 웹사이트 / 259

   ∙ 맺음말 / 260

 

[저자약력]

 

박창근

 

출생지:중국 길림성 화룡시

직 장:복단대학 국제문제연구원 교수

E-mail:pahgygis@aliyun.com

 

길림공업대학(현 길림대학) 졸업(1975년); 복단대학 대학원 졸업, 철학 석사(1981년); 독자적인 시스템학 체계 수립(1992년); 복단대학 한국연구센터 발기인(1992년); 한국학 연구(1992년 이후); 복단대학 국제문제연구원 한국연구센터 교수, 2007년 11월 정년퇴임. 동제대학 아태연구센터 겸임교수(2008년 이후), 중국 조선족 과학기술자협회 부이사장(2010년 이후), 화동조선족주말학교 교장(2011년 이후), 기타 여러 학회의 회원 등.

 

연구업적

- 독자적 시스템학 체계를 구축하고 다수의 논문과 최초의 시스템학 저서《系统学基础》(1994년 초판; 2005년 개정판, 복단대학 국제문제 연구총서)를 발표. (한국어로 출판된 박창근 [시스템학](범양사출판부, 1997년) 참조)

- 한국 산업정책의 역사·구조·기능·경험·교훈에 대한 다수의 논문과 체계적인 저서《韩国产业政策》(1998년)을 발표.

- 한국의 산업화 과정, 민주화 과정, 그리고 한국인의 전통사회가치관과 산업화 및 민주화와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한국 현대화 모델에 관한 다수의 논문(본인의 논문집 [세계화와 한국의 대응] (한국 백산자료원, 2003년) 참조)과 체계적인 저서《解讀漢江奇跡》(중국어 번체자본, 2009년; 중국어 간체자본 2012년)을 발표.

- 시스템학 이론과 국제관계이론을 이용하여 중국의 개혁개방, 한반도와 신동북아질서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추진, 다수의 논문을 발표(그중 한국어로 된 논문들은 본인의 논문집 [중국의 개혁개방과 신동북아질서]에 수록, 2010년 한국 출판.)

 

pic-1-.jp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