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때 F학점 수두룩... 허준이 “시작하기에 늦은 건 없어”
수학이 싫던 허준이 세계 최고 수학자로
중3 때 교사 “수학하기엔 너무 늦어”
검정고시 거쳐 서울대 물리학과로
학업에 관심 적어 대학 6년 다녀
입력 2022.07.05 22:48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겸 한국 고등과학원(KIAS) 수학부 석학교수가 5일(현지시간) 핀란드 헬싱키 알토대학교에서 열린 국제수학연맹(IMU) 필즈상 시상식에서 필즈상을 수상한 뒤 메달과 함께 취재진을 향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2.7.5 /연합뉴스
허준이 교수는 필즈상을 받으면서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수학자로 인정받았지만 놀랍게도 그는 대학원에서부터 수학을 공부한 늦깎이 수학자다. 어린 시절 수학과 담을 쌓고 시인이 되길 원하다가 우연한 기회에 수학에 입문한 것이다. 허 교수는 본지 인터뷰에서 “초·중·고나 대학 때는 수학에 별 관심이 없었다”고 말했다. 미국의 수학·과학 전문 매체인 콴타매거진은 허 교수가 박사 학위를 받기 전에 세계적 수학 난제를 푼 데 대해 “테니스 라켓을 열여덟에 잡았는데 스물에 윔블던 대회에서 우승한 것”이라고 비유했다.
◇수학 늦었다고 일찌감치 포기
허 교수의 부친은 서울대 계산통계학과를 나와 미 스탠퍼드대에서 통계학 박사 학위를 받은 허명회 전 고려대 통계학과 교수다. 어머니는 서울대 노어노문학 교수를 지낸 이인영 교수다. 아버지는 허 교수가 초등학생 때 수학 문제집을 풀게 한 적이 있지만, 허 교수는 몰래 답안지를 베꼈다고 한다. 아버지가 이를 눈치채고 답안지를 몽땅 잘라 숨기자 동네 서점에 가서 답을 적어왔다. 허 교수는 “그때 일로 혼이 났고 아버지는 더 이상 수학 가르치기를 포기했다”고 말했다.
중3 때 수학 경시대회에 나가볼까 생각도 했지만 역시 포기했다. 선생님이 ‘지금 시작하기엔 너무 늦었다’고 한 것이다. 허 교수는 “그 시절 나는 스스로 수학 못하는 아이라고 생각했다”며 “지금 생각하면 어떤 일이라도 시작하기에 늦은 일은 없다”고 말했다.
허 교수는 시인이 되고 싶어 고교를 중퇴했고, 검정고시와 재수 학원을 거쳐 서울대 물리학과로 진학했다. 학업보다는 다른 곳에 관심이 많아 F 학점이 수두룩했고 그 탓에 대학을 6년이나 다녔다.
◇“수학은 열린 마음으로 봐야”
허 교수는 나중에 서울대 수학과 대학원을 거쳐 미국 유학길에도 올랐다. 1970년 필즈상 수상자인 히로나카 교수가 추천서를 써줬지만 미국 대학 12곳 중 일리노이대만 합격했다. 대학을 6년이나 다녔고 성적도 나빴으니 당연했다. 박사과정 첫해 수학의 난제인 리드 추측을 해결하자 한 해 전 그를 떨어뜨렸던 미시간대로 옮겨 박사 학위를 마쳤다.
허준이 교수는 “‘잘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커 어린 시절 수학과 멀어졌었던 듯하다”며 “여러 현실적인 이유로 쉽지는 않겠지만, 부담감 없이 열린 마음을 가지고 바라보면 수학의 매력을 야금야금 찾으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래픽=박상훈
그는 본지 인터뷰에서 한국의 전 국민이 수학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데 대해 “수학이 문제가 아니라 입시 구조가 문제”라며 “내년부터 입시에 수학을 안 넣겠다고 하면 바로 수학 스트레스가 해결되지 않겠느냐”고 우스개를 했다. “미국에서 보니 그렇게 수학 공부를 많이 하고 온 한국 학생들이 뜻밖에 수학에 대한 깊이가 낮았어요. 그런데 수학 스트레스는 한국 학생이 심하죠. 입시 수학의 병폐입니다.”
허 교수는 “사람들이 수학의 가치와 매력을 알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는 “순수 수학은 인류가 지난 수천년간 꾸준히 발전시켜온 놀이 문화”라며 “지금 이 순간에도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전 세계의 수많은 수학자들이 오직 즐겁기 때문에 수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수학자가 아니더라도 수학의 가치를 이해하면 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했다. 허 교수는 “수학은 답을 찾는 데 걸리는 시간과 방향이 사람마다 달라도 정답은 하나”라며 “요즘처럼 의견 대립하다가 지치면 ‘생각하기 나름’이라고 어물쩍 결론 내리는 세상에선 더 의미가 있다”고 했다.
◇흔들리지 않고 계속 창의적 연구할 것
허준이 교수는 “필즈상 수상으로 앞으로 조용한 삶이 흔들릴까 걱정이 되다가 친구들에게 자랑할 생각에 들뜨기도 한다”면서 “그래도 목표는 아름다운 구조를 만들고 발견하는 것, 계속 창의적이고 흥미를 갖는 것, 동료 수학자와 더 큰 사회를 이해하고 이해받는 것”이라고 했다.
허 교수는 필즈상 수상에 대해 무엇보다 가족에게 고마움을 표현하고 싶다고 했다. 허 교수의 아내 김나영씨는 서울대 수학과 대학원 동기다. 그는 아내가 두 아이를 키우느라 공부를 그만둬 늘 미안하다고 했다. 수학 이외의 생활은 그래서 늘 가족에게 집중한다고 했다.ㅁㅁㅁ
출처: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2/07/05/RSEBY5PZUBE3TJ35CSWYBRK6P4/